원문삼국지 原文三國志

앞 회

제83회 선주가 효정에서 원수를 갚고 서생이 장강을 지키다가 대장이 된다

    한편, 장무 2년 봄 정월, 무위후장군武威後將軍 황충黃忠이 선주先主(유비)를 따라 동오를 정벌하는데, 선주가 늙은 장수는 쓸모 없다 말하자 즉시 칼을 들고 말에 올라 그를 따르는 대여섯 사람을 거느려 이릉彝陵의 영채로 질러간다. 오반吳班과 장남張南, 풍습馮習이 맞 아들여 묻는다.

    “노장군께서 이렇게 오시니 무슨 까닭입니까?”

    “내가 장사長沙에서부터 천자를 지금껏 따른 이래 많은 근로(근면과 노고)를 마다하지 않았소. 이제 비록 7순을 넘었으나 열 근의 고기 를 먹고, 2석(활의 강도를 재는 단위)의 활을 당기며, 너끈히 천리마를 타니, 아직 늙었다 하기에 모자라오. 어제 주상께서 우리를 늙어빠 져 쓸모없다 말씀하신지라 이렇게 동오와 교봉하러 온 것이니 내가 적장을 베는 것을 본다면 늙어도 늙은 것이 아님을 알 것이오!”

    이렇게 말하는데 오병吳兵(오군)의 선두 대열이 벌써 당도해 적의 초마(정찰병)가 영채 가까이 왔다고 한다. 황충이 분연히 일어 나 밖으로 나가 말에 오르니 풍습 등이 권한다.

    “노장군께서 가벼이 나아가지 마십시오.”

    황충이 듣지 않고 말을 몰아 간다. 오반이 풍습에게 명해, 병력을 이끌고 돕도록 한다. 황충이 동오 진영 앞에서 말고삐를 잡고 칼을 비껴 든 채 선봉장 반장潘璋에게 싸움을 건다. 반장이 부장 사적史蹟을 거느려 출마한다. 사적은 황충이 늙은 것을 업신여겨 창을 꼬나쥐고 출전한다. 불과 3합을 못 싸워 황충이 단칼에 베어 말 아래 떨군다. 반장이 크게 노해 관공이 쓰던 청룡도를 휘두르며 황충에게 달려든다 . 몇차례 교마交馬(말을 타고 싸움)해도 승부가 나지 않는다. 황충이 힘을 떨쳐 악전惡戰(격렬히 싸움)하니 반장이 대적하기 어렵다 여겨 말머리 돌려 달아난다. 황충이 그 기세를 타고 추격해 완전히 이겨 돌아온다. 돌아오는 길에 관흥關興, 장포張苞를 만나니 장포가 말한 다.

    “저희는 성지를 받들어 노장군을 도우러 오는 길입니다. 이미 공을 세우셨으니 바라건대 속히 영채로 돌아가십시오.”

    황충이 듣지 않는다.

    다음날 반장이 또 도전한다. 황충이 분연히 말에 오르니 관흥, 장포 두 사람이 도우려는데 황충이 따르지 않는다. 오반이 도우려는 것도 황충이 역시 거절한다. 오로지 스스로 5천 군을 이끌고 출격한다. 몇 합 못 싸워 반장이 칼을 던지고 달아난다. 황충이 말 몰아 뒤쫓으 며 소리친다.

    “적장은 거기 서라! 내 이제 관공의 복수를 하련다!”

    3십여 리를 추격하자 사방에서 함성이 크게 울리더니 복병이 우르르 튀어나온다. 오른쪽은 주태周泰, 왼쪽은 한당韓當, 앞쪽은 반장, 뒷 쪽은 능통凌統으로 황충을 해심垓心(두터운 포위 속)에 빠뜨린다. 갑자기 광풍이 크게 불고 황충이 물러나려는데 산비탈에서 마충馬忠 이 1군을 거느려 나타나, 활을 쏴 황충의 어깻죽지를 맞히니 하마터면 말에서 굴러떨어질 뻔한다.

    황충에게 화살이 명중함을 보고 오병들이 일제히 달려든다. 그런데 뒷쪽에서 함성이 크게 일더니 양 갈래에서 병사들이 몰려와 오병들 이 무너져 흩어진다. 황충을 구출한 것은 바로 관흥과 장포다. 두 소장(젊은 장수)이 황충을 호위해 곧바로 어전御前의 영채로 간다. 황 충이 늙고 혈기가 쇠약한데 전창(화살로 생긴 상처)이 아프고 벌어져 병세가 몹시 침중沉重(심각/ 위중)하다. 선주가 어가를 타고 직접 찾아와 살펴 그 등을 어루만지며 말한다.

    "장군으로 하여금 상처를 입게 만들다니 짐의 과오요! "

    "신은 일개 무부(무사)이었는데 요행히 폐하를 만났습니다. 신이 이제 일흔하고도 다섯이니 살 만큼 살았습니다. 바라건대 폐하께서 용 체를 잘 보전하시어 중원을 도모하소서!"

    말을 마치고 인사불성이 되더니 이날밤 어영(임금이 머무는 군영)에서 숨을 거둔다. 훗날 누군가 시를 지어 기렸다.

    노장이라면 황충을 말하니
    서천을 얻을 때 큰 공 세우네
    쇄갑*을 엄중히 걸치고
    양팔로 철태궁*을 잡아당기네
    담력은 하북을 뒤흔들고
    위명威名은 촉에 가득하네
    죽을 때 머리는 눈처럼 희건만
    영웅의 모습 더욱 드러나네

    선주는 황충이 기절氣絕(여기서는 사망의 뜻)하자 슬퍼해 마지않으며 칙서를 내려 관곽棺槨(시체를 넣는 속널과 겉널)을 구비해 성도成 都에 묻도록 한다. 선주가 탄식한다.

    “오호대장五虎大將 가운데 이미 세 사람이 죽었소. 짐이 아직 복수하지 못했는데 참으로 가슴 아프오!”

    이에 어림군을 이끌고 효정猇亭으로 바로 가서 장수들을 크게 불러모아 여덟 갈래로 군대를 나눠 수로와 육로 양쪽으로 진격한다. 수로 를 따라 황권이 병력을 이끌고 선주가 직접 육로를 따라 대군을 이끌고 진발한다. 이 때가 장무 2년 2월 중순이다.

    한당과 주태는 선주의 어가가 출정한 것을 듣고 병력을 이끌고 출격한다. 양쪽이 포진을 마치고 한당과 주태가 출마하니 촉군 진영의 문 기 쪽에서 선주가 직접 나오는데 황라黃羅(항라/ 옷감의 일종)에 금을 입힌 산개傘蓋(일종의 햇빛 가리개)에 좌우로 백모白旄(야크 털이 달린 깃발), 황월黃鉞(누런 크고 작은 도끼), 금은金銀 정절旌節(깃발과 부절/ 의장의 일종)이 앞뒤로 에워싸고 있다. 한당이 크게 외친 다.

    “폐하께서 이제 촉의 군주가 되셨는데 어찌 스스로 가벼이 출전하십니까? 만일이라도 소우疏虞(소홀/ 실수)가 있게 되면 후회막급입니 다!”

    선주가 손가락질하며 욕한다.

    “너희 동오의 개들이 짐의 수족을 해쳤으니 내 맹세코 천지지간에 너희와 함께 서지 않겠다!”

    한당이 장수들을 돌아보며 말한다.

    “누가 용감히 촉병들과 충돌하겠소?”

    부장 하순夏恂이 창을 꼬나쥐고 출마한다. 선주의 등 뒤에서 장포가 장팔사모를 꼬나들고 말을 몰아 고함 지르며 하순에게 달려든다. 하 순은 장포의 목소리가 우레 같자 마음 속으로 놀라고 두려워한다. 하순이 달아나려는데 주태의 아우 주평周平은 하순이 상대할 수 없음을 보고 칼을 휘두르며 말 달려온다. 관흥이 이것을 보고 말을 몰아 칼을 들고 맞이하러 간다. 장포가 크게 소리 지르며 한번에 하순을 찔 러 죽이니 말 아래 떨어져 나뒹군다. 주평이 크게 놀라 미처 손 쓰지 못하는 사이에 관흥이 한칼에 베어버린다. 두 소장이 한당과 주태에 게 달려들자 한, 주 두 사람이 황망히 군진으로 들어간다. 선주가 이를 보고 찬탄한다.

    “호랑이 아비에게 개의 새끼는 없구나!”

    어편(임금의 채찍)으로 한번 지시하자 촉병들이 우르르 쳐들어가니 오병들이 크게 진다. 여덟 갈래의 촉병들이 샘솟듯이 나타나서 몰아 치니 살해당한 오군들의 주검이 들판 가득 뒹굴고 피가 흘러 강물을 이룬다.

    한편, 감녕甘寧은 배 안에서 요양하다가 촉병들이 크게 몰려옴을 듣고 부리나케 말에 오르는데 때마침 한무리 만병(오랑캐 병사)를 만난 다. 그들 모두 머리를 풀어헤치고 맨발인데 모두 궁노(활과 쇠뇌)와 장창(긴 창)을 쓰거나 방패와 도끼를 들고 있다. 우두머리는 번왕(천 자가 봉하는 제후국의 왕) 사마가沙摩柯이니 얼굴이 핏물을 뿌린 듯 듯하고 파란 눈이 튀어나왔는데 두개의 철질려鐵蒺藜(쇠 가시가 달 린 무기)와 골타骨朵(쇠나 나무로 만든 곤봉)를 쓰고 허리엔 두개의 긴 활을 차니 그 위풍이 진동한다. 감녕은 그 세력이 대단함을 보고 감히 교봉하지 못하고 말머리를 돌리는데 사마가가 쏜 화살 한발이 두로頭顱(골통 / 두정골/)에 명중한다. 감녕이 화살을 꽂은 채 달아 나 부지富池 의 어귀에 이르러 큰 나무 아래 앉아 결국 사망한다. 나무 위의 갈까마귀 수백 마리가 그 시체를 에워싼다. 오왕吳王(손권) 이 이를 듣고 애통해 마지않아 예를 다해 후하게 장례를 치르고 묘당을 세워 제사 지낸다. 훗날 누군가 시를 지어 기렸다.

    오군의 감흥패는 장강에서 금만주*를 탔네
    자신을 알아주니 그 은혜를 갚고
    벗에게 보답하다 원수지간이 되네
    경기輕騎*를 이끌고 적진을 습격하고
    병력을 몰고 돌아와 큰 술잔을 들이키네
    신령스런 까마귀 떼지어 나타나고
    그를 기리는 향불은 천추에 영원하리라

    한편 선주는 기세를 타고 추격해 마침내 효정猇亭을 점령한다. 오병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달아나니 선주가 병력을 거두는데 관흥이 보 이지 않는다. 선주가 황망히 장포를 시켜 곳곳을 샅샅이 찾아보도록 한다. 알고보니 관흥이 오군 진영으로 쳐들어가 때마침 원수 반장을 마주쳐 말을 몰아 뒤쫓았다. 반장이 깜짝 놀라 산골 안으로 달아나니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다. 관흥이 곰곰이 생각하니 반드시 산 속에 있을 것인데 이리저리 찾아도 보이지 않는다. 어느새 해가 저무니 헤매다 길을 잃는데 다행히 별과 달이 비춘다. 산 속 외진 곳에 이르러 벌써 이경二更이 된다. 어느 집에 이르러 말에서 내려 문을 열라 외치니 어느 노인이 나와서 누구냐 물어 관흥이 말한다.

    "저는 싸움터에서 온 장수이온데 길을 잃어 이곳에 이르렀으니 한끼를 얻어 주린 배를 채우고자 합니다."

    노인이 데리고 들어가니 집 안에 밝은 촛불을 켜두었는데 중당中堂(본체의 한가운데 방)에 관공의 신상神像이 그려져 있다. 관흥이 크게 곡하며 절하자 노인이 묻는다.

    “장군은 무슨 까닭에 곡을 하십니까?”

    “이 분은 제 부친이십니다.”

    노인이 그 말을 듣고 곧 하배下拜(무릎 꿇고 절을 올림)하니 관흥이 말한다.

    “무슨 까닭에 제 부친에게 공양하십니까?”

    “이곳은 모두 신을 모시는 지방인데 살아 계실 때도 집집마다 받들어 모셨거늘 하물며 오늘날 신이 되셨는데 공양하지 않겠습니까? 이 늙은이는 오로지 촉병이 어서 복수하러 오기를 바랄 뿐이었습니다. 이제 장군께서 오시니 저 같은 백성에게 복이 있습니다.”

    술을 내어 대접하고 안장을 풀어 말을 먹인다.

    3경이 지나 문득 문밖에서 또 한 사람이 문을 두드리니 노인이 나가 누군지 묻는다. 바로 동오의 장수 반장도 투숙하러 온 것이다. 초당 으로 들어오자 관흥이 보고 검을 뽑아 크게 외친다.

    “반적反賊(모반한 도적)은 꼼짝마라!”

    반장이 몸을 돌려 나가는데 문 밖에서 한 사람이 얼굴은 짙은 대추빛이고 붉은 봉황의 눈, 누운 누에 같은 눈썹에 세 가닥 아름다운 수염을 나부끼며 푸른 전포에 황금갑옷을 걸치고 검을 잡고 들어온다. 반장은 관공이 현성顯聖(귀신이나 성인이 나타남)한 것을 알고 크게 외마디 소리를 지르더니 놀라서 넋이 나간다. 몸을 돌리려는데 어느새 관흥이 검을 내리치니 땅 위로 목이 떨어진다. 그 심장을 꺼내 피 를 흘리며 관공의 신상 앞에서 제사 올린다. 관흥이 부친의 청룡언월도를 얻고 반장의 수급을 말 목 아래 꿰어 걸고 노인에게 작별한 뒤 반장의 말을 올라타 본영으로 간다. 노인이 반장의 시체를 끌어내 불태운다.

    한편, 관흥이 몇 리 못 가 갑자기 사람들의 함성과 말의 울부짖는 소리가 들리며 1군이 도래하니 선두의 장수는 바로 반장의 부하 장수 마충이다. 마충은 관흥이 그들의 주장 반장을 죽이고 수급을 말 목 아래 매달은 데다 청룡도도 얻은 것을 보고 벌컥 크게 노해 말을 몰아 관흥에게 덤빈다. 관흥은 마충이 부친을 죽인 원수임을 알고 분기가 충천해 청룡도를 들고 마충을 당장 베려는데 마충의 부하 3백 병사가 힘을 모아 달려나온다. 한바탕 크게 함성이 일더니 관흥이 해심(포위 한 가운데)에 빠져 세력이 외롭고 위태하다. 그런데 서북 쪽에서 1군이 쇄도하니 바로 장포다. 마충은 구원병이 온 것을 보고 황망히 군을 이끌고 자퇴하는데 관흥, 장포가 함께 뒤쫓 는다. 몇 리 못 쫓아 앞쪽에서 미방糜芳과 부사인傅士仁이 병력을 이끌고 마충을 찾으러 온다. 양군이 상대해 한바탕 혼전을 벌인다. 장포, 관흥 두 사람의 병력이 적어 황망히 철퇴해 효정으로 돌아가 선주를 찾아뵙고 수급을 바치며 그 일을 자세히 말한다. 선주 가 놀라고 이상히 여기며 삼군을 포상하고 호궤한다.

    한편, 마충은 돌아가 한당과 주태를 만나 패잔군을 수습해 각각 나눠서 지키는데 병사들 가운데 부상자를 헤아릴 수 없다. 마충이 부사 인과 미방을 데리고 강저江渚(강가의 모래섬)에 주둔한다. 그날밤 3경에 병사들 모두 곡소리가 그치지 않아 미방이 엿들으니 한 패거리 가 모여서 이렇게 말한다.

    “우리 모두 형주 병사들인데 여몽呂蒙의 속임수에 빠져 주공의 목숨을 잃게 했소. 이제 유 황숙께서 어가를 타고 친히 정벌하시니 동오 는 조만간 끝장이오. 원망스러운 자는 미방과 부사인이오. 우리가 어찌 두 도적을 죽이지 않고 촉영(촉나라 진영)으로 가서 투항하겠소? ”

    또 한 무리 병사들이 말한다.

    “성급해서 안 되오. 기회를 기다리다가 바로 손을 써야 하오.”

    미방이 다 듣고 크게 놀라 곧 부사인과 상의한다.

    “군심이 변동하니 우리 두 사람의 목숨도 보전하기 어렵소. 이제 촉주(촉의 군주 즉 유현덕)가 미워하는 자는 마충뿐이오. 어찌 그를 죽 여서 그 수급을 촉주에게 바치며 변명하지 않겠소? ‘저희는 부득이하게 동오에 투항했으나 이제 어가가 오시는 것을 알고 일부러 찾아와 죄를 청하나이다.’ 라고 하는 것이오.”

    “불가하오. 찾아가면 반드시 화를 입을 것이오.”

    “촉주는 너그럽고 덕이 두터운데다 이제 아두阿斗 태자가 바로 내 외생外甥(누이의 아들)이니 그가 국척國戚(임금의 친척)의 정을 생각 한다면 틀림없이 해치지 않을 것이오.”

    두 사람이 계책을 세운 뒤 먼저 타고 갈 말을 준비하고 3경 무렵에 장막 안으로 들어가 마충을 죽여 그 수급을 잘라 두 사람이 수십 기를 이끌고 곧장 효정으로 달려간다. 길에 잠복하던 병사들이 먼저 장남과 풍습에게 데려가니 그간의 사정을 자세히 말한다. 다음날 어영(임 금이 머무는 군영)에 이르러 선주를 만나 마충의 수급을 받치며 소리내 울며 고한다.

    “신들은 참으로 아무런 반심(배반하는 마음)이 없사온데 여몽의 속임수에 빠져 관공이 이미 죽은 줄만 알고 성문을 속아 열어준 탓에 신 들이 부득이하게 투항했사옵니다. 이제 성가(어가)가 친히 오심을 듣고 일부러 이 도적놈을 죽여 폐하의 한을 씻고자 하오니 엎드려 바 라옵건대 폐하께서 신들의 죄를 용서해주시옵소서.”

    선주가 크게 노해 말한다.

    “짐이 성도를 떠나온지 오래인데 너희 두 놈은 어째서 죄를 청하러 오지 않았냐? 이제 사세가 위급하자 찾아와 간사한 말로써 목숨을 보 전할 셈이구나! 짐이 너희를 용서한다면 구천에 가서 무슨 낯으로 관공을 만나겠냐!”

    말을 마쳐 관흥을 시켜 어영에 관공의 영위(혼백/ 신위)를 마련해 선주가 친히 마충의 수급을 바치며 앞으로 나아가 제사를 올린다. 다시 관흥을 시켜 미방과 부사인의 옷을 벗겨 영전에 무릎 꿇리고 선주 스스로 칼을 잡고 살을 발라 관공에게 제를 올린다. 갑자기 장포가 장 막을 걷어올리고 나타나 앞에서 통곡하며 절을 올리더니 말한다.

    “백부의 원수를 모두 주륙했는데 소신의 부친의 원수는 언제 갚겠습니까?”

    선주가 말한다.

    “조카는 걱정 말라. 짐이 강남을 삭평削平(평정)해 동오의 개들을 모조리 죽이고 두 도적놈을 붙잡아 네 부친을 위해 직접 육젓으로 만들어 제사를 올릴 것이다.”

    장포가 흐느끼며 사례하고 물러간다.

    이때 선주의 위세와 명성이 크게 울려 강남 사람 모두 간담이 찢어져 밤낮으로 소리내 우니 한당과 주태가 크게 놀라 급히 오왕에게, 미 방과 부사인이 마충을 죽이고 촉제(촉의 황제)에게 귀순했으나 역시 촉제에게 죽은 것을 알린다. 손권이 마음 속으로 두려워 곧 문무관 리를 모아 상의하니 보즐步騭이 아뢴다.

    “촉주가 원한을 갖는 것은 바로 여몽, 반장, 마충, 미방, 부사인입니다. 이제 이들 모두 죽고 다만 범강范疆과 장달張達 두 사람이 현재 동 오에 있는데 어찌 이들을 사로잡지 않겠습까? 아울러 장비張飛의 수급(잘린 머리)을 사자를 시켜 송환하고 형주荊州를 내어주고 손부인을 돌려보내 화평을 청하고 다시 예전의 정을 찾아 함께 위나라를 멸할 것을 도모하면 촉병은 스스로 물러갈 것입니다.”

    손권이 그 말을 따라 즉시 침향나무로 만든 목갑에 장비의 수급을 넣고 범강과 장달을 결박해 함거檻車(죄인 호송 수레)에 가둬 정병程 秉을 사자로 삼아 국서를 가지고 효정으로 가게 한다.

    한편, 선주가 출병해 전진하려는데 가까이 모시는 신하가 아뢴다.

    “동오에서 사자를 보내 장 거기장군의 머리와 함께 범강과 장달 두 놈을 가둬서 당도했습니다.”

    선주가 두 손을 이마에 대고 멀리 바라보며 말한다.

    “이것은 하늘이 내려주신 것이고 또한 막내 아우의 영험(영검) 덕분이다!”

    즉시 장포를 시켜 장비의 영위를 마련한다. 장포의 수급이 목갑 안에서 생전의 낯빛이 그대로인 것을 보고 선주가 목놓아 크게 곡한다. 장포가 스스로 예리한 칼을 들고 범강, 장달을 만번 살을 저미고 토막내어 부친의 영전에 제를 올린다.

    제를 마치고도 선주의 노기가 가라앉지 않아 기어코 동오를 멸하려 하니 마량馬良이 상주한다.

    “원수들은 모조리 주륙됐으니 그 원한을 씻을 만합니다. 동오의 대부 정병이 형주를 반환하고 손부인을 돌려보내 맹호를 영구히 맺어 위 나라를 함께 멸할 것을 도모하자며 폐하의 성지를 삼가 기다리고 있사옵니다.”

    선주가 노해 말한다.

    “짐이 절치부심하는 원수는 바로 손권이오. 이제 그와 화평을 맺는다면 이는 지난날 두 아우와 맹서한 것을 저버리는 것이오. 이제 먼저 동오를 멸하고 그 뒤 위를 멸하겠소.”

    찾아온 사자를 베어 동오의 정을 끊으려 한다. 많은 관리가 살려주라 애써 고하니 정병이 머리를 감싼 채 쥐새끼처럼 달아나 오주(동오 의 군주)를 만나 말한다.

    “촉은 강화할 뜻이 없이 맹세코 동오를 먼저 멸한 뒤에 위를 정벌하겠답니다. 여러 신하들이 애써 간해도 듣지 않으니 이를 어찌해야겠 습니까?”

    손권이 크게 놀라 허둥대는데 감택闞澤이 자리에서 나와 아뢴다.

    “하늘을 떠받칠 기둥이 있사온데 어찌 쓰지 않겠습니까?”

    손권이 급히 누구냐 묻자 감택이 말한다.

    “지난날 동오의 대사는 모두 주랑周郎(주유)에게 맡겼슺니다. 그 뒤 노자경魯子敬(노숙)이 대신하고 자경이 죽자 여자명呂子明(여몽)이 결정했습니다. 이제 자명을 비록 상실했으나 지금 육백언陸伯言(육손)이 형주에 있는데 이 사람이 명색은 비록 유생이나 참으로 웅재대 략雄才大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이 보기에 주랑보다 밑에 있지 않습니다. 지난번에 관공關公을 격파한 것도 그 모략은 모두 백언이 낸 것이니 주상께서 능히 그를 쓰신다면 반드시 촉을 깰 것입니다.”

    “덕윤德潤(감택)의 말이 아니었으면 고가 대사를 그르칠 뻔했소.”

    장소張昭가 말한다.

    “육손은 일개 서생일 뿐이오니 유비의 적수가 아니옵니다. 아마도 그를 써서 안 될 것이옵니다.”

    고옹顧雍도 말한다.

    “육손은 나이도 어리고 명망도 보잘 것 없어 공公들이 불복할까 두렵사옵니다. 불복한다면 곧 화란이 생기옵니다.”

    보즐 역시 말한다.

    “육손의 재주는 고을을 다스릴 정도일 뿐입니다. 대사를 맡기는 것은 마땅하지 않사옵니다.”

    감택이 소리친다.

    “육백언을 쓰지 않는다면 동오는 끝장입니다! 신이 바라옵건대 저희 집안 전체를 걸고서라도 그를 보증하겠습니다!”

    손권이 말한다.

    “고도 평소에 육백언이 기재임을 알고 있었소. 고의 뜻은 이미 정해졌으니 경들은 여러 말 마오.”

    이에 육손을 부르니 본명은 육의인데 육손으로 개명한 것이다. 자 字는 백언이며 오군의 오인 吳人이다. 한나라 성문교위 육우의 손자이자 구강도위 육준의 아들로서 신장은 8척인데 얼굴이 아름다운 옥과 같다. 당시 벼슬이 진서장군인데 그날 조서를 받고 도착한다. 그가 절을 마치자 손권이 말한다.

    “이제 촉병이 국경에 임박하니 특별히 경에게 군마의 총독을 맡겨 유비를 격파하려 하오.”

    “강동의 문무관료는 모두 대왕의 오랜 신하들이옵니다. 신은 어리고 재주 없거늘 어찌 그들을 통제하겠습니까?”

    “감덕윤闞德潤이 온 집안을 걸고 그대를 보증하거니와 고 역시 평소 경의 재주를 알고 있었소. 이제 경을 대도독大都督으로 임명하니 경 은 절대 사양치 마오.”

    “문무관료들이 불복하면 어찌해야겠습니까?”

    손권이 차고 있던 검을 그에게 주며 말한다.

    “만약 호령을 듣지 않는 자 먼저 참한 뒤에 알리시오.”

    “중탁重託(막중한 부탁)을 받거늘 어찌 감히 명을 따르지 않겠습니까? 다만 바라옵건대 대왕께서 내일 관리들을 불러모으신 뒤에 신에 게 맡기시옵소서.”

    감택이 말한다.

    “예로부터 장수를 임명할 때는 단을 쌓고 사람들을 모아 백모白旄(전군의 지휘를 상징하는 하얀 야크 털이 달린 깃발)와 황월黃鉞(황색 도끼), 인수印綬와 병부兵符를 하사한 뒤에야 위엄이 서고 군령을 삼가 지키게 됩니다. 이제 대왕께서 마땅히 이러한 예를 따라 날을 골 라 단을 쌓아서 백언을 대도독 가절월假節鉞(절월은 황제나 임금의 신표인데 이것을 줘서 군사지휘에 있어 절대적 권한을 주는 것)로 임명하시면 사람들 스스로 아무도 복종하지 않는 이 없을 것이옵니다.”

    손권이 이를 따라 사람들을 시켜 밤낮으로 단을 쌓아 완비하고 백관을 크게 불러모은다. 육손에게 단으로 오르라 청해서 대도독 우호군 右護軍 진서장군으로 임명하고 나아가 누후婁侯로 책봉하고 보검과 인수를 하사해 6군 81주와 아울러 형주, 초 지방 곳곳의 군마를 장 악하라 명하며 오왕이 분부한다.

    “곤閫(대궐) 안은 고가 맡겠으니 곤 밖은 장군이 결정하오.”

    육손이 명을 받고 단을 내려와 서성徐盛과 정봉丁奉을 호위로 삼고 그날 출병한다. 동시에 여러 갈래 군마를 일으켜 수로와 육로 양쪽으 로 나란히 진격한다. 이 소식을 전하는 문서가 효정에 이르자 한당과 주태가 크게 놀란다.

    “주상께서 어째서 일개 서생에게 병력을 모두 맡기시오?”

    육손이 오자 사람들 모두 불복하니 육손이 승장升帳(장군이 막사 안으로 들어가 군정보고를 듣고 호령을 내리는 것)해서 일을 의논한다 며 사람들을 억지로 참가 시킨다. 육손이 말한다.

    “주상께서 나를 대장으로 명하시며 군대를 통솔해 촉병을 깨뜨리라 하셨소. 군에는 상법常法(통상적 원칙)이 있으니 공들은 각자 마땅히 준수하시오. 어길 시에 왕법무친王法無親(왕의 법은 친소를 가리지 않고 엄격함)이니 절대 후회할 일이 없도록 하시오!”

    모두 묵묵히 듣는데 주태가 말한다.

    “지금 안동장군安東將軍 손환孫桓은 주상의 조카인데 이릉성 안에 포위돼 안으로 양초糧草(식량과 말먹이풀)가 없고 밖으로 구원병이 없소. 도독께 청하건대 어서 좋은 계책을 내어 손환을 구출해 주상을 안심 시키시오.”

    “손 안동(안동장군)이 군심을 깊이 얻고 있음을 평소 알고 있소. 반드시 능히 굳게 지킬 테니 구출할 것 없이 내가 촉병을 깨뜨린 뒤에 그 스스로 나오게 될 것이오.”

    모두 속으로 비웃으며 물러난다. 한당이 주태에게 말한다.

    “이런 어린 놈을 대장으로 임명하시다니 동오도 끝장이오! 공께서 그의 소행을 보셨소?”

    “내 우선 말로써 그를 시험하겠소. 아무 계책도 못 내놓는다면 어찌 능히 촉병을 깨겠소?”

    다음날 육손이 호령을 내리며 장수들에게 지시해 곳곳의 관방關防(병력이 주둔해 지키는 관문)에서 애구(길목/ 산길)를 뇌수牢守(고수/ 굳게 지킴)해야지 함부로 대적하는 것을 불허한다고 하니 장수들은 그를 어리다고 우습게 여겨 기꺼이 굳게 지키려 하지 않는다.

    다음날 육손이 승장해 장수들을 불러 말한다.

    “내 삼가 왕명을 받들어 제군諸軍을 총독하며 어제 이미 삼령오신三令五申(거듭된 명령과 경고)으로 그대들에게 각처를 굳게 지키라 했 었소. 그런데 모두 내 영을 따르지 않으니 어찌된 일이오?”

    한당이 말한다.

    “우리는 손 장군(손견)을 따른 뒤부터 강남江南을 평정하며 수백차례의 싸움을 치뤘소. 기타 장수들도 누구는 토역장군討逆將軍(손책)을 따르며 누구는 당금(지금)의 대왕을 따르며 모두 갑옷을 입고 무기를 잡고 출생입사出生入死(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한 평생)를 함께 한 인물들이오. 이제 주상께서 공을 대도독으로 임명해 촉병을 물리치라 명하셨으니 마땅히 어서 계책을 정해 군마를 조발해 각방면으 로 진격해 대사를 도모해야 할 것이오. 그런데 오로지 굳게 지키며 절대 싸우지 말라고 하니 어찌 하늘이 적들을 죽여주시길 기다리는 것이오? 우리는 삶을 탐하거나 죽음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아니거늘 어찌 우리더러 스스로 날카로운 기세를 꺾으라 명하시오?”

    이에 아래의 장수들이 모두 그 말에 맞춰 말한다.

    “한 장군의 말씀이 옳소이다. 우리는 참으로 바라건대 한바탕 죽기를 각오해 싸우고 싶소이다!”

    육손이 다 듣더니 손에 검을 뽑아들고 소리친다.

    “나는 일개 서생이나 이제 주상께서 중임을 맡기시며 나를 조금이라도 쓸모있다 여기심은 내 능히 치욕을 참고 중임을 짊어질 수 있어서 요. 그대들은 각자 애구를 수비하고 험요(험준한 요충지)를 굳게 지키되 경거망동을 불허하니 만약 영을 어기는 자 모두 참하겠소!”

    사람들 분노를 억누른 채 물러난다.

    한편, 선주는 효정에서부터 군마를 포진하니 곧장 천구川口에 이르기까지 잇달아 7백 리에 걸쳐 앞뒤로 4십 곳의 영채가 낮에는 깃발들 이 해를 가리고 밤에는 블빛이 하늘을 밝힌다. 그런데 세작(첩자)이 와서 보고한다.

    "동오에서 육손을 대도독으로 임명해 군마를 모두 맡겼습니다. 육손은 장수들에게 명해 험요를 수비하며 나오지 못하게 했습니다."

    선주가 묻는다.

    "육손은 어떤 사람이오?"

    마량이 아뢴다.

    "육손은 비록 동오의 일개 서생이나 나이는 어려도 재주가 많고 심오한 모략을 갖고 있습니다. 지난날 형주를 습격한 것도 모두 이 사람 의 궤계(간사한 속임수)에서 나온 것입니다.”

    선주가 크게 노해 말한다.

    “풋내기 녀석이 속임수를 써서 짐의 아우를 해치다니 지금 당장 잡아야겠소!”

    곧 명령을 전해 진병하려는데 마량이 간언한다.

    “육손의 재주는 주랑에 뒤지지 않으니 아직 함부로 대적해선 아니 되옵니다.”

    “짐이 용병한지 오래인데 어찌 도리어 젖비린내 나는 어린 녀석만 못하겠소!”

    곧 친히 선두부대를 이끌고 곳곳의 강과 산의 요충지를 공략한다.

    한당은 선주의 병력이 몰려오자 사람을 보내 육손에게 알린다. 육손은 한당이 경거망동할까 걱정해 급히 말을 몰아 스스로 살피는데 마 침 한당이 산 위에 말을 세운 것을 발견한다. 멀리 촉병들이 들판을 뒤덮은 채 오고 있다. 촉군 속에 은은히 황라산개(황색 비단으로 꾸 민 천자의 햇빛가리개)가 보인다. 한당이 육손을 맞이해 말머리를 나란히 바라본다. 한당이 가리키며 말한다.

    “군중에 반드시 유비가 있으니 내가 공격하겠소.”

    “유비가 병력을 일으켜 동하東下(동진)하며 잇달아 십여 차례 이겨 그 날카로운 기세가 지금 한창이오. 지금은 오로지 높은 곳에 올라 험 요를 지키며 함부로 나가지 말아야지 나가면 불리하오. 다만 의당히 장사들을 격려하며 널리 방어책을 펼치며 형세의 변화를 살펴야 하 오. 이제 그들이 평원과 광야를 휘저으며 한창 득의만만하오. 우리가 굳게 지키며 나가지 않으면 저들은 싸우고자 하여도 싸울 수 없어 틀림없이 산림 수목 사이로 이동해 주둔할 것이니 그때 우리가 기계奇計(기발한 계책)를 내어서 이길 수 있소.”

    한당이 입으로는 비록 응낙해도 마음 속으는 불복할 뿐인데 선주가 선두부대를 시켜 싸움을 걸며 온갖 욕설을 퍼붓는다. 육손은 귀를 막 고 듣지 않으며 나가서 맞섬을 불허한다. 스스로 여러 관문과 애구를 돌아다니며 장사들을 위무하고 모두에게 굳게 지키라 명할 따름이 다. 오군이 나오지 않자 선주가 마음 속으로 초조한데 마량이 말한다.

    “육손은 계략이 깊습니다. 지금 폐하께서 멀리 와서 공격하시는데 봄에서 여름으로 계절이 바뀌고 있습니다. 그가 나오지 않으며 아군의 변화를 노리는 것입니다. 바라옵건대 폐하께서 살펴주소서.”

    “그놈에게 무슨 계책이 있겠소? 다만 대적하기 겁내는 것뿐이오. 지난번에 수차례 패전했으니 이제 어찌 감히 다시 나오겠소?”

    선봉장 풍습이 상주한다.

    “지금 날씨가 불볕더위인지라 병사들이 마치 빨간 불 속에 주둔한 듯하옵고 물을 얻기도 심히 불편하옵니다.”

    선주가 곧 곳곳의 영채에 명을 내려 모두 산림이 무성하고 냇물이 가까운 곳으로 옮기게 한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오면 힘을 합쳐 진 격하려는 것이다. 풍습이 선주의 교지를 받들어 곧 모든 영채를 수풀이 우거진 곳으로 옮긴다. 마량이 상주한다.

    “아군이 이동할 때 만약 오병들이 갑자기 추격하면 어찌하시겠습니까?”

    “짐이 오반에게 명해 만여 명의 노약한 군을 이끌고 동오군 영채 근처의 평지에 주둔하라 했소. 짐이 친히 8천의 정병을 뽑아서 산골짜기에 매복하겠소. 만약 짐이 영채를 옮기는 것을 육손이 안다면 틀림없이 그 틈을 노려 추격할 것이니 오반을 거짓으로 패 하게 하겠소. 육손이 뒤쫓아 오면 짐이 병력을 이끌고 돌출해 그 귀로를 끊어 그 어린 녀석을 잡을 수 있을 것이오.”

    문무신하들 모두 찬양한다.

    “폐하의 신기묘산神機妙算은 저희 신하들이 따라갈 수 없사옵니다!”

    마량이 말한다.

    “요새 듣자니 제갈 승상이 동천東川에 머물면서 곳곳의 애구를 점검하며 위병魏兵이 침입할까 염려한다 하옵니다. 폐하께서 영채들을 옮길 땅을 도본으로 그려서 승상에게 물어보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짐도 병법을 자못 아는데 하필 또 승상에게 물어야겠소?”

    “옛말에 이르기를, 겸청즉명兼聽則明,편청즉폐偏聽則蔽 ( 여러 의견을 들으면 밝은 판단을 내릴 수 있고 편중되면 가리워져 밝은 판단을 내릴 수 없다 )라고 했사옵니다. 바라옵건대 폐하께서 살펴주소서.”

    “경이 직접 각 영채마다 가서 사지팔도四至八道(사방팔방)의 도본을 그려서 직접 동천으로 가서 승상에게 물어보시오. 만약 잘못된 점이 있다면 서둘러 와서 알려주시오.”

    마량이 명을 받들어 떠난다. 이에 선주가 병력을 수풀 우거진 곳으로 옮겨 더위를 피한다. 어느새 세작이 한당과 주태에게 알린다. 두 사 람이 이를 듣고 크게 기뻐하며 육손을 찾아가 말한다.

    “목금目今(현재) 촉병의 4십여 영채 모두 산림이 우거지고 냇물과 계곡이 가까운 곳으로 옮겨 서늘한 곳에서 쉬려고 하오. 도독은 이 틈을 타서 공격하시오.”

    촉의 군주는 지모가 있어 능히 매복 작전을 펴는데
    오병들은 용맹만 좋아하니 반드시 잡히겠구나

    육손이 그 말을 들어줄지 모르겠구나. 다음 회에 풀리리다.

다음 회

"무릇 천리마 하루 천리를 가지만 느린 말도 열흘이면 역시 간다 夫驥一日而千里, 駑馬十駕, 則亦及之矣" (순자 荀子)
나관중 羅貫中이 쓰고 모종강 毛宗崗이 개수한 삼국연의 三國演義 원본을 한문-한글 대역 對譯으로 번역해봤습니다.
2009년부터 7년간 번역해 제 블로그에 올린 걸 홈페이지로 만들었습니다.

정만국(daramzui@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