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회
第四十三回 諸葛亮舌戰群儒 魯子敬力排眾議 제43회 제갈량이 선비들과 설전을 벌이고 노자경이 사람들의 뜻을 물리친다
卻說魯肅、孔明辭了玄德、劉琦,登舟望柴桑郡來。二人在舟中共議,魯肅謂孔明曰:「先生見孫將軍,切不可實言曹操兵多將廣。」孔 明曰:「不須子敬叮嚀,亮自有對答之語。」及船到岸,肅請孔明於館驛中暫歇,先自往見孫權。權正聚文武於堂上議事,聞魯肅回,急 召入問曰:「子敬往江夏,體探虛實若 何?」肅曰:「已知其略,尚容徐稟。」權將曹操檄文示肅曰:「操昨遣使齎文至此,孤先發遣來 使,現今會眾商議未定。」肅接檄文觀看。其略曰: 孤近承帝命,奉詔伐罪。旄麾南指,劉琮束手;荊襄之民,望風歸順。今統雄兵百萬 ,上將千員,欲與將軍會獵於江夏,共伐劉備,同分土地,永結盟好。幸勿觀望,速賜回音。
*旄麾 /모휘/ 대장의 깃발. 깃발.
*望風 /망풍/ 명망이나 풍채를 보고 우러러 사모함.
한편, 노숙과 공명은 현덕과 유기에게 작별을 고하고 배를 타고 시상군으로 향한다. 두 사람이 배 안에서 함께 의논해 노숙이 공명에게 말한다.
"선생께서 손 장군을 만나시거든 절대로 조조의 병다장광 兵多將廣 (병사들과 장수들이 많음. 군사력이 대단함)을 이야기해서는 안 되십니다."
"자경께서 당부하지 않으셔도 제가 이미 대답할 말을 정해 두었습니다."
배가 강둑에 다다라 노숙이 공명에게 관역에서 잠시 쉴 것을 청하고 자신은 먼저 가서 손권을 만난다. 손권은 마침 문무 관리들을 당상에 모아서 의사하고 있었는데 노숙이 돌아온 게 보고되자 서둘러 불러들여 묻는다.
"자경이 강하에 가서 몸소 허실을 알아보니 어떠하였소?"
"대략 알아냈습니다만 천천히 아뢰겠습니다."
손권이 조조의 격문을 노숙에게 보여주며 말한다.
"조조가 어제 사자에게 격문을 쥐어 보냈는데 내 우선 그 사자를 보내고 이제 사람들을 모아 상의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되지 않았소. "
노숙이 격문을 받아 들고 살핀다. 대략 이렇다.
'내 요새 황제의 명을 받들어 조서에 따라 죄인을 토벌하오. 깃발을 남쪽으로 향하자 유종은 속수무책이었고 형양의 백성들은 우러러 보 며 귀순했소. 내 지금 웅병 백만과 상장 上將 1천 명을 거느려서 장군과 더불어 강하에서 힘을 합쳐 함께 유비를 토벌하고 토지를 같이 나눠 영원한 맹호 盟好를 맺고자 하오. 행여나 관망하지 말고 어서 답신을 보내주기 바라오.'
魯肅看畢曰:「主公尊意若何?」權曰:「未有定論。」張昭曰:「曹操擁百萬之眾,借天子之名,以征四方,拒之不順。且主公大勢可以 拒操者,長江也。今操既得荊州,長江之險,已與我共之矣,勢不可敵。以愚之計,不如納降為萬安之策。」眾謀士皆曰:「子布之言,正 合天意。」孫權沈吟不語。張昭又曰: 「主公不必多疑。如降操則東吳民安,江南六郡可保矣。」孫權低頭不語。
노숙이 읽고 나서 말한다.
"주공의 뜻은 어떠하십니까?"
"아직 세우지 못했소."
장소가 말한다.
"조조는 백만 대병을 거느린데다 천자의 이름을 빌려 사방을 정벌하니 그를 거역하는 것은 불순합니다. 게다가 주공께서 조조를 맞설 만 했던 것은 장강 덕분이었습니다. 이제 그가 이미 형주를 얻었으니 장강의 험준한 잇점도 그나 우리나 다를 바 없게 돼서 지금 형세로는 대적할 수 없습니다. 제가 헤아려 보건대 납항 納降 (투항을 받아들임)이 만안지책 萬安之策 (만전을 기하는 계책)입니다."
모사들 모두 말한다.
"자포의 말씀이 하늘의 뜻에 들어맞습니다."
손권이 깊이 신음하며 입을 열지 않는다. 장소가 다시 말한다.
"주공께서는 이래저래 머뭇거리실 필요 없습니다. 조조에게 항복하면 동오 백성들이 편안해지고 강남 6군을 가히 보전하게 됩니다."
손권이 머리를 낮게 숙이고는 아무 말이 없다.
須臾,權起更衣,魯肅隨於權後。權知肅意,乃執肅手而言曰:「卿欲如何?」肅曰:「恰纔眾人所言,深誤將軍。眾人皆可降曹操,惟將 軍不可降曹 操。」權曰:「何以言之?」肅曰:「如肅等降操,當以肅還鄉黨累官,故不失州郡也;將軍降操,欲安所歸乎?位不過封侯 ,車不過一乘,騎不過一匹,從不過數 人,豈得南面稱孤哉?眾人之意,各自為己,不可聽也。將軍宜早定大計。」
*鄉黨 /향당/ 향리. 고향. 고향 친구들.
*累官 /누관/ 공을 쌓아 벼슬이 높아짐.
잠시 뒤 손권이 옷을 갈아 입으러 일어나니 노숙이 뒤따라 간다. 손권이 그 뜻을 알아차려 손을 붙잡고 이야기한다.
"경은 어떻게 하고 싶소?"
"방금 사람들이 하는 말들은 장군을 몹시 그르치는 것들입니다. 사람들 모두 조조에게 항복해도 되겠지만 장군만은 그러실 수 없습니다."
"어째서 그렇게 말하시오?"
"저나 다른 사람들이야 조조에게 항복한들 고향으로 돌아가 벼슬을 더할 수도 있고, 다스리던 고을을 잃는 것도 아닙니다. 장군께서 조 조에게 항복하신다면 어디에 의지하시겠습니까? 지위는 고작 열후에 불과할테고 수레는 불과 1승이요 마필도 불과 한 필일 것이며 종인 들도 불과 몇몇일텐데 어찌 지금처럼 남면해서 고 孤(군주나 제후가 스스로를 낮춰 부르는 말)라고 일컫는 것이 가능하겠습니까? 사람 들 뜻이야 각각 자기를 위하는 것일 뿐, 귀담아 들어서는 안 되십니다. 장군께서 어서 대계를 정하십시오!"
權歎曰:「諸人議論,大失孤望。子敬開說大計,正與吾見相同。此天以子敬賜我也!但操新得袁紹之眾,近又得荊州之兵,恐勢大難以 抵敵。」肅曰: 「肅至江夏,引諸葛瑾之弟諸葛亮在此,主公可問之,便知虛實。」權曰:「臥龍先生在此乎?」肅曰:「現在館驛中安 歇。」權曰:「今日天晚,且未相見。來日 聚文武於帳下,先教見我江東英俊,然後升堂議事。」
*開說 /개설/ 잘 알아듣게 타이름.
*升堂 /승당/ 관리가 공당(관아)로 들어가 안건을 보던 것.
"사람들의 의논이 내 소망을 크게 저버렸소. 자경이 대계를 깨우쳐 주는 것이 내 견해와 꼭 맞소. 이것은 하늘이 자경을 내게 내리신 것이 오! 다만 조조가 원소의 무리를 새로 얻은데다 요새 형주의 병력까지 더했으니 그 세력을 대적하기 어려울까 걱정이오."
"제가 강하에 가서 제갈근의 아우 제갈량을 여기 데려 왔으니 주공께서 그에게 물어 허실을 알아내십시오."
"와룡 선생이 여기 있다 말이오?"
"현재 관역에서 쉬고 있습니다."
"지금은 저녁이라 만나기에 늦겠소. 내일 문무 관리들을 장하에 불러 모아 먼저 그에게 우리 강동의 영준 英俊 (재능이 출중한 사람)들을 보여주고 공당(관아)으로 불러 올려 의사 議事 하겠소."
肅領命而去;次日至館驛中見孔明,又囑曰:「今見我主,切不可言曹操兵多。」孔明笑曰:「亮自見機而變,決不有誤。」肅乃引孔明至 幕下。早見張 昭、顧雍等一班文武,二十餘人,峨冠博帶,整衣端坐。孔明逐一相見,各問姓名。施禮已畢,坐於客位。張昭等見孔明丰 神飄灑,器宇軒昂,料道此人必來游說。 張昭先以言挑之曰:「昭乃江東微末之士,久聞先生高臥隆中,自比管、樂。此語果有之乎?」 孔明曰:「此亮平生小可之比也。」昭曰:「近聞劉豫州三顧先生於草廬之中,幸得先生,以為如魚得水,思欲席捲荊、襄。今一旦以屬 曹操,未審是何主見?」
*逐一 /축일/ 하나하나씩. 차례대로. 일일이.
*丰神 /봉신/풍신/ 아름다운 모습. 기운이 넘침. 생기가 충만함.
*飄灑 /표쇄/ 눈이나 비가 흩날리는 모습. 생기가 넘치는 모습.
*丰神飄灑 /봉신표쇄/ 태도가 자연스럽고 생기가 넘침.
*小可 /소가/ 스스로 낮춰 이르는 말. 경미하고 긴요하지 않은 것. 출신이 미천한 사람.
노숙이 명령을 듣고 떠난다. 다음날 관역에 가서 공명을 만나 다시 부탁한다.
"오늘 우리 주공을 만나시거든 절대로 조조 병력이 많을 것은 말씀드리지 마십시오."
공명이 웃는다.
"제가 상황을 봐 가며 대처할 것인즉 결코 그르침이 없을 겁니다."
노숙이 이에 공명을 막하로 데려간다. 벌써 장소, 고옹 등 한 무리 문무 관리 스물 남짓이 아관박대 峨冠博帶 (관리들이 머리에 높은 관을 쓰고 허리에 넓은 띠를 두르던 차림) 차림으로 옷 매무새를 가다듬어 단정히 앉아 있다. 공명이 한 사람 한 사람 인사하고 성명을 묻 는다. 인사를 마치고 손님 자리에 앉는다. 장소 등이 보니 공명이 태도는 생기가 넘치고 외모는 당당한 것이 아무래도 유세하러 온 것이 틀림없어 보인다. 장소가 먼저 입을 열어 그를 긁어본다.
"저는 강동의 보잘것 없는 선비이지만 오래전부터 선생께서 융중에서 고고히 은거하시며 스스로를 관중과 악의에 견주셨다고 들었습니 다. 과연 그렇게 말씀하셨습니까?"
"제가 평소에 저를 그렇게 견준 게 맞습니다."
"요새 듣자니 유예주가 선생의 초려 小可(초가집)를 세번 찾아가 요행히 선생을 얻었다 하더군요. 그래서 물고기가 물을 얻은 듯이 여기 고는 형양 지방을 석권한 마음을 먹었다 들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하루 아침에 조조에게 복종하게 됐으니 무슨 할 말이 있을지 미심쩍구 려."
孔明自思張昭乃孫權手下第一個謀士,若不先難倒他,如何說得孫權;遂答曰:「吾觀取漢上之地,易如反掌。我主劉豫州躬行仁義,不 忍奪同宗之基業,故力辭之。劉琮孺子,聽信佞言,暗自投降,致使曹操得以猖獗。今我主屯兵江夏,別有良圖,非等閒可知也。」
공명이 생각해보니 장소는 손권 수하 가운데 제일 가는 모사인지라 만약 먼저 그를 압도하지 못하고서야 어찌 손권을 설득하리오. 답한다.
"제가 보기에 한수 漢水 상류 지방을 취하는 것이야 손바닥 뒤집듯 쉬웠습니다. 그러나 저희 주공이신 예주께서는 인의를 궁행 躬行 (몸 소 실천)하셔 차마 같은 집안의 기업을 빼앗을 수 없으신지라 애써 사양하셨던 것 뿐입니다. 유종은 풋내기라 남들의 간사한 말을 듣고 어리석게도 스스로 투항해 결국 조조가 창궐하게 됐습니다. 지금 저희 주공께서는 강하에 둔병해 따로 좋은 기회를 노리시는 것이니 남 들이 쉽게 그 뜻을 알아차릴 수 없습니다."
昭曰:「若此,是先生言行相違也。先生自比管、樂。管仲相桓公,霸諸侯,一匡天下;樂毅扶持微弱之燕,下齊七十餘城;此二人者,真 濟世之才也。 先生在草廬之中,但笑傲風月,抱膝危坐;今既從事劉豫州,當為生靈興利除害,剿滅亂賊。且劉豫州未得先生之時,尚且 縱橫寰宇,割據城池;今得先生,人皆仰 望;雖三尺童蒙,亦謂彪虎生翼,將見漢室復興,曹氏即滅矣;朝廷舊臣,山林隱士,無不拭目 而待:以為拂高天之雲翳,仰日月之光輝,拯斯民於水火之中,措天下於衽席之上,在此時也。何先生自歸豫州,曹兵一出,棄甲拋戈, 望風而竄;上不能報劉表以安庶民,下不能輔孤子而據疆土;乃棄新野,走樊城,敗當陽,奔夏口,無容身之地?是豫州既得先生之後, 反不如其初也。管仲、樂毅,果如是乎?愚直之言,幸勿見怪!」
*拭目 /식목/ 눈을 씻고 자세히 살핌.
*雲翳 /운예/ 햇빛을 가린 구름의 그늘.
*拯 /증/ 건지다. 구원하다.
*見怪 /견괴/ 괴상한 것을 보다. 원망하다.
"그렇다면 선생은 언행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선생은 스스로 관중과 악의에 견준다 하셨는데 관중은 환공을 모셔 제후를 제패하고 천하 를 크게 바로잡았습니다. 악의는 미약한 연나라를 떠받쳐 제나라 70여 성을 함락했습니다. 이 두 사람은 참으로 세상을 구제할 재주를 가졌었다 하겠습니다. 선생은 초려에서 단지 한가로이 풍월이나 읊어대고 무릎을 껴안고 앉아 세월을 보냈습니다. 이제 유예주에게 종 사했으니 마땅히 생령(백성)들을 위해 이익을 진흥하고 폐해를 제거하고 저들 어지러운 도적을 소멸해야 할 것입니다. 게다가 유예주는 선생을 얻지 못했을 때에는 오히려 환우 寰宇 (천하. 우주)를 종횡하고, 할거하는 성지가 있었습니다. 선생을 얻자 모두 우러러 봤습니 다. 삼척동자라도 이제 호랑이가 날개를 단 셈이라 한실을 부흥하고 조씨는 즉시 멸망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조정의 옛 신하들이나 산림에 숨어지내는 선비들도 눈을 씻고 살피며 기대하지 않은 이가 없었습니다. 빛을 가리는 구름을 걷어내 해와 달이 눈부시게 빛나게 하고, 수화 水火 (물과 불. 재난)에 빠진 백성들을 건져내리라 믿어 의심치 않았습니다. 그러나 신야를 포기하고 번성으로 달아나더니 당양에서 패전해 하구로 달아나니 어디 몸을 머물 데가 있습니까? 이것을 보면, 유예주는 선생을 얻고 나서 도리어 예전보다 못하게 된 것입니다. 관중과 악의가 과연 이러했습니까? 제 못난 소견이니 행여나 너무 노여워 하지 마십시오!"
孔明聽罷,啞然而笑曰:「鵬飛萬里,其志豈群鳥能識哉?譬如人染沈痾,當先用糜粥以飲之,和藥以服之;待其腑臟調和,形體漸安, 然後用肉食以補 之,猛藥以治之;則病根盡去,人得全生也。若不待氣脈和緩,便投以猛藥厚味,欲求安保,誠為難矣。吾主劉豫州,向 日軍敗於汝南,寄跡劉表,兵不滿千,將止 關、張、趙雲而已;此正如病勢尪羸已極之時也。新野山僻小縣,人民稀少,糧食鮮薄,豫州 不過暫藉以容身,豈真將坐守於此耶?夫以甲兵不完,城郭不固,軍不經練,糧不繼日,然而博望燒屯,白河用水,使夏侯惇、曹仁輩心 驚膽裂。竊謂管仲、樂毅之用兵,未必過此。至於劉琮降操,豫州實出不知;且又不忍乘亂奪同宗之基業,此真大仁大義也。當陽之敗, 豫州見有數十萬赴義之民,扶老攜幼相隨,不忍棄之,日行十里,不思進取江陵,甘與同敗,此亦大仁大義也。寡不敵眾,勝負乃其常事 。昔高皇數敗於項羽,而垓下一戰成功,此非韓信之良謀乎?夫信久事高皇,未嘗累勝。蓋國家大計,社稷安危,是有主謀,非比誇辯之 徒,虛譽欺人,──坐議立談,無人可及;臨機應變,百無一能。──誠為天下笑耳!」
*啞然 /아연/ 웃음소리(예. 아연대소 啞然大笑). 너무 놀라 할 말을 잃은 모습(예. 아연실색). 본문에서는 제갈량이 어이가 없어 소리내 어 웃는 것으로 보는 게 합당할 듯.
*痾 /아/ 오래된 병. 숙병.
*尪羸 /왕리/ 수척하고 쇠약함.
*主謀 /주모/ 범죄 행위 등의 주모자. 그러나 본문에서는 주된 계획이나 근본적 계책 같은 것을 뜻한다 봐야.
*誇辯 /과변/ 과대한 변설.
*坐議 /좌의/ 앉아 의논하는 것. 예전에 관리들이 궁궐에 나가면 그들에게 마실 차를 내리고 앉도록 명한 것을 일컫기도.
공명이 듣고 나서 소리내 웃는다.
"붕새는 만리를 날아가니 그 뜻을 어찌 뭇새가 알겠습니까? 비유컨대 사람이 병을 오래 앓으면 마땅히 먼저 죽을 먹은 뒤에 화약 和藥 ( 작용이 부드러운 약)을 복용해 장부(내장기관)가 조화되고 몸이 점차 안정되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그 뒤에 고기를 먹어 보하고 맹약 猛藥 (작용이 맹렬한 약)으로 치료해야 병의 뿌리가 모조리 없어져 사람이 온전히 살아나게 됩니다. 그 기맥이 안정되기를 바라지 않고 바로 맹약과 후미 (맛이 아주 좋은 음식)를 써서 고치려 하면 참으로 어렵게 되고 맙니다. 제 주공 유예주께서는 지난날 여남에서 패전 해 유표에게 몸을 맡기셨을 때 병력이 천 명이 되지 못한데다 거느린 장수들도 겨우 관우, 장비, 조운 뿐이었습니다. 이것은 병세가 심하 기 그지없는 때와 똑 같았습니다. 신야는 궁벽한 작은 고을이고 인민도 희소한데다 양식마저 적어서 예주께서 잠깐 몸을 둘 만한 곳에 불과하지 어찌 참으로 장수가 좌수(고수)할 곳이겠습니까? 이렇게 갑병 (무장병력)도 모자라고 성곽도 튼튼치 못하고 군대도 충분히 숙련되지 못한데다 양식마저 하루를 버티기 어려웠지만 박망파에서 적의 근거지를 불사르고 백하에서 수공을 가해서 하후돈과 조인 등 의 가슴을 놀라게 하고 간담을 찢어놓았습니다. 제가 보기에 관중과 악의가 용병해도 이보다 더할 수는 없습니다.
심지어 유종이 조조에게 항복한 것도 예주께서는 참으로 알지 못하셨습니다. 게다가 차마 같은 집안의 기업을 함부로 빼앗지 못하셨으 니 참으로 크나큰 인의라 하겠습니다. 당양의 패전도, 예주께서 수십만 백성들이 의 義를 따라 늙은이를 부축하고 어린이를 업고 따라오 는 것을 보고 차마 버리지 못하고 하루 겨우 십 리를 가면서도 강릉을 빼앗으러 진격할 생각을 안 하고 백성들과 함께 패전할 것을 감내 하셨으니 참으로 크나큰 인의라 하겠습니다. 적은 병력으로 많은 적병을 대적하지 못했지만 그런 승부는 으레 있는 법입니다. 예전에 고 조황제는 항우에게 수차례 패했지만 해하에서 한차례 싸움으로 성공했으니 이것이 한신의 좋은 계책이 아닙니까? 무릇 한신이 오래전 부터 고조황제를 섬겼지만 일찍이 승리를 거듭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대저 국가의 대계와 사직의 안위는 근본 계획을 세워야지 과대하 게 떠벌이거나 헛된 명예로 남들을 속이는 자들을 따라서는 안 됩니다. 그들 무리는 앉아서 이야기나 나누는 것이야 남들이 따라올 수 없게 잘하지만 임기응변이 필요한 때에는 백에 하나도 능히 할 수가 없으니 참으로 천하의 웃음거리입니다!"
這一篇言語,說得張昭並無一言回答。座上忽一人抗聲問曰:「今曹公兵屯百萬,將列千員,龍驤虎視,平吞江夏,公以為何如?」孔明 視之,乃虞翻 也。孔明曰:「曹操收袁紹蟻聚之兵,劫劉表烏合之眾,雖數百萬不足懼也。」虞翻冷笑曰:「軍敗於當陽,計窮於夏口, 區區求救於人,而猶言不懼,此真大言欺 人也!」孔明曰:「劉豫州以數千仁義之師,安能敵百萬殘暴之眾,退守夏口,所以待時也。今 江東兵精糧足,且有長江之險,猶欲使其主屈膝降賊,不顧天下恥 笑;由此論之,劉豫州真不懼操賊者矣!」
*不顧 /불고/ 염려하지 않다.
이렇게 한바탕 말하자 장소는 아무런 대꾸도 하지 못한다. 그런데 좌상에서 누군가 큰 소리로 묻는다.
"이제 조 공이 백만 대군과 장수 1천 명을 거느리고 용양호시 龍驤虎視 (용마가 머리를 쳐들고 울부짖고 호랑이가 사냥감을 노려보는 것 .)하며 강하를 평정해 집어삼키려 하는데 공은 어찌하겠소?"
공명이 바라보니 그는 우번이다. 공명이 말한다.
"조조가 원소의 개미떼 같은 병력을 거둔데다 유표의 오합지졸을 빼앗은 것이니 비록 백만 대군인들 족히 두려워 할 게 못 되오."
우번이 비웃는다.
"당양에서 군대는 패배하고 하구에서 꾀가 바닥나 구구히 남에게 구원을 요청하러 오고서도 오히려 두렵지 않다고 말씀하시다니 이야 말로 참으로 허풍을 쳐서 남을 속이는 것이구려!"
"유예주께서 고작 수천의, 인의를 받드는 군대로써 어찌 능히 백만의 잔폭한 무리에 대적하시겠소? 하구로 물러나 지키는 것은 때를 기다리는 것이오. 이제 강동에는 병력이 정예하고 양식이 풍부하고 게다가 장강의 험한 지형이 있는데도 오히려 그 주인으로 하여금 무릎을 꿇고 도적에게 항복하게 만들고자 하니 천하에서 비웃을 것을 염려치 않는 것이오. 이렇게 따지면 유예주야말로 진실로 조조 도적을 두려워 하시지 않는 것이오!"
虞翻不能對。座間又一人問曰:「孔明欲效儀、秦之舌,游說東吳耶?」孔明視之,乃步騭也。孔明曰:「步子山以蘇秦、張儀為辯士,不 知蘇秦、張儀 亦豪傑也。蘇秦佩六國相卬,張儀兩次相秦,皆有匡扶人國之謀,非比畏強凌弱,懼刀避劍之人也。君等聞曹操虛發詐偽之 詞,便畏懼請降,敢笑蘇秦、張儀乎?」
우번이 할 말이 없다. 자리에서 또 한 사람이 묻는다.
"공명은 소진과 장의 (둘 다 전국시대의 유명한 유세가)처럼 혀를 놀려 동오에 유세하고자 하시오?"
공명이 바라보니 그는 바로 보즐 步騭이다. 공명이 말한다.
"보자산(보즐)은 소진과 장의를 변사 辯士로만 여기지 소진과 장의 또한 호걸인 것을 모르시는구려. 소진은 여섯 나라의 상인(재상의 인감)을 차서 두르고 장의는 진나라에서 두번이나 재상을 지냈으니 그들 모두 나라를 바로세울 지모를 가졌었소. 강한 자를 두려워 하고 약한 자를 능멸하는 자들이나 창칼을 무서워 하는 자들과 비할 사람들이 아니오. 여러분은 조조의 허풍을 듣자마자 두려워 바로 항복하 기를 조르는 처지에 감히 소진과 장의를 비웃을 수 있소?"
步騭默默然無語。忽一人問曰:「孔明以操何如人也。」孔明視其人,乃薛綜也。孔明答曰:「曹操乃漢賊也,又何必問?」綜曰:「公言 差矣。漢歷傳 至今,天數將終。今曹公已有天下三分之二,人皆歸心。劉豫州不識天時,強欲與爭,正如以卵擊石,安得不敗乎?」孔明 厲聲曰:「薛敬文安得出此無父無君之言 乎!夫人生天地間,以忠孝為立身之本。公既為漢臣,則見有不臣之人,當誓共戮之,臣之道也 。今曹操祖宗叨食漢祿,不思報效,反懷纂逆之心,天下之所共憤。 公乃以天數歸之,真無父無君之人也!不足與語!請勿復言!」
보즐이 묵묵히 말이 없다. 그때 누군가 묻는다.
"공명은 조조를 어떤 사람으로 여기시오?"
공명이 그 사람을 바라보니 바로 설종이다. 공명이 답한다.
"조조는 한적(한나라 역적)인데 더 물어볼 필요가 있겠소?"
"공이 틀렸소. 한나라가 지금에 이르러 천수 (하늘이 내린 운수)가 다하려 하오. 이제 조 공은 이미 천하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사람 들 모두 마음으로 귀부하고 있소. 유예주는 천시를 알아보지 못하고 한사코 그와 다투려 하니 이야말로 계란으로 돌을 치는 것인데 어찌 패하지 않을 수 있겠소?"
공명이 성난 목소리로 말한다.
"설경문(설종)은 어찌 이렇게 부모도 임금도 없는 사람처럼 말씀하시오? 무릇 사람이란 하늘과 땅 사이에 태어나 충효를 입신의 근본으 로 삼는 법이오. 공은 한나라 신하가 되었으니 만약 신하답지 못한 사람을 보거든 마땅히 함께 그를 처단해야 하는 것이 신하의 도리요. 이제 조조가 조상 대대로 한나라의 녹을 먹고도 보답할 생각 없이 도리어 찬역할 마음을 품고 있어 천하에서 함께 분노하고 있소. 공은 이것을 천수가 그에게 돌아가는 것이라 여기다니 참으로 부모도 임금도 없는 사람이오! 함께 이야기를 나누기에 부족하구려! 청컨대 다 시는 말을 꺼내지 마시오!"
薛綜滿面羞慚,不能對答。座上又一人應聲問曰:「曹操雖挾天子以令諸侯,猶是相國曹參之後。劉豫州雖雲中山靖王苗裔,卻無可稽考 ,眼見只是織蓆 販屨之夫耳,何足與曹操抗衡哉!」孔明視之,乃陸績也。孔明笑曰:「公非袁術座間懷橘之陸郎乎?請安坐聽吾一言。 曹操既為曹相國之後,則世為漢臣矣;今乃專權肆橫,欺凌君父,是不惟無君,亦且蔑祖;不惟漢室之亂臣,亦曹氏之賊子也!劉豫州堂 堂帝冑,當今皇帝,按譜賜爵,何雲無可稽考?且高祖起身亭長,而終 有天下;織蓆販屨,又何足為辱乎?公小兒之見,不足與高士共語 !」
*稽考 /계고/ 지난 일을 자세히 살펴봄. 고증.
*抗衡 /항적/ 서로 맞서서 지려고 하지 않음.
*陸績 /육적/ 원술이 내려 준 귤을 부모에게 드리기 위해 품었다는 고사로 유명한 효자.
설종이 얼굴 가득 처참해져 대답하지 못한다. 자리에서 다시 한 사람이 공명의 말이 끝나자마자 묻는다.
"조조가 비록 천자를 옆에 끼고 제후를 호령한다지만 그래도 상국 相國 조참의 후예요. 유예주가 비록 중산정왕의 묘예(후예)라 말하지 만 도리어 아무 고증할 길이 없고 확실한 것은 돗자리를 짜고 신을 팔던 사내였다는 것 뿐이니 어찌 족히 조조와 맞설 수 있겠소?"
공명이 그를 보니 바로 육적이다. 공명이 웃으며 말한다.
"공은 바로 원술이 내려 준 귤을 품었다던 육랑이 아니시오? 청컨대 편히 앉아 제 한 마디를 들어보시오. 조조가 조 상국의 후예라면 바 로 대대로 한나라 신하였다는 것이 되오. 이제 권력을 틀어쥐고 제멋대로 굴어대니 이것은 임금만 업신여기는 것이 아니라 조상을 능멸 하는 것이기도 하오. 한실의 난신일 뿐 아니라 조 씨 집안의 적자 賊子 (도적. 반역자)이기도 한 것이오! 유예주께서는 당당히 황제의 후 예로서 당금(현재)의 황제께서도 족보에 따라 작위를 하사하셨는데 어찌 아무 고증할 길이 없다 하시오? 게다가 고조께서는 정장을 지 내시다 몸을 일으켜 마침내 천하를 소유하셨소. 돗자리를 짜고 신을 팔았다 한들 어찌 족히 치욕이겠소? 공의 어린이 같은 견해야말로 고사 高士 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기에 부족하오!"
陸績語塞。座上一人忽曰:「孔明所言,皆強詞奪理,均非正論,不必再言。且請問孔明治何經典?」孔明視之,乃嚴畯也。孔明曰:「尋 章摘句,世之 腐儒也,何能興邦立事?且古耕莘、伊尹、釣渭、子牙、張良、陳平之流,鄧禹、耿弇之輩,皆有匡扶宇宙之才,未審其生 平治何經典。豈亦效書生區區於筆硯之間,數黑論黃,舞文弄墨而已乎?」
*尋章摘句 /심장적구/ 책에서 글귀를 찾는 것. 글귀를 찾아 써먹는 것.
*耕莘 /경신/ 이윤이 탕왕을 만나기 전에 신야 莘野에서 농사 지으며 안빈낙도했다는 옛이야기.
육적은 말문이 막히는데 자리에서 누군가 홀연히 말한다.
"공명의 말들은 모두 무리하게 억지를 부리는 것이라 죄다 정론이 아니니 다시 말할 필요가 없겠소. 우선 공명은 무슨 경전을 익히셨는 지 물어봐도 되겠소?"
공명이 바라보니 그는 바로 엄준이다. 공명이 말한다.
"경전에서 그럴싸한 글귀나 뒤지는 것은 세속의 썩은 선비들이나 하는 짓이지 어찌 능히 나라를 흥하게 하고 일을 성공시키는 것이라 하 겠소? 더욱이 옛날 신야 莘野에서 밭을 갈던 이윤 伊尹이나 위수에서 낚시하던 자아 子牙 (강태공)나 한고조를 도운 장랑, 진평 같은 사 람들이나 광무제를 도운 등우, 경감 같은 무리는 모두 우주를 바로잡을 재주를 가졌었지만 그들이 생평 生平(평생. 일생)에 무슨 경전을 익혔는지 미심쩍소. 또한 어찌 서생들의, 구구하게 붓과 벼루에 파묻혀 수흑논황 數黑論黃 (제멋대로 어지럽게 시비를 가려서 말하는 것 )하고 무문농묵 舞文弄墨 (글을 놀려 법도를 어지럽히는 것)하는 것을 본받을 수 있겠소?"
嚴畯低頭喪氣而不能對。忽又一人大聲曰:「公好為大言,未必真有實學,恐適為儒者所笑耳。」孔明視其人,乃汝南程德樞也。孔明答 曰:「儒有君子 小人之別。君子之儒,忠君愛國,守正惡邪,務使澤及當時,名留後世。若夫小人之儒,惟務雕蟲,專工翰墨,青春作賦 ,皓首窮經;筆下雖有千言,胸中實無一 策;且如揚雄以文章名世,而屈身事棻,不免投閣而死,此所謂小人之儒也;雖日賦萬言,亦何 取哉!」
*雕蟲 /조충/ 글이나 시를 지을 때 갈고 다듬는데 열중하는 것을 비유.
*揚雄 /양웅/ 전한 前漢 말기의 문인.
엄준이 고개를 숙이고 기가 꺾여 대답하지 못한다. 그때 누군가 다시 큰소리로 말한다.
"공은 큰 소리를 즐기지만 여태 참으로 실학 實學 (진실한 학문이나 재능)을 가지지는 못했으니 유자 儒者 (유학자)들에게 웃음거리나 되지 않을까 두려울 뿐이오!"
공명이 그 사람을 보니 바로 여남의 정덕구다. 공명이 답한다.
"유자에는 군자와 소인이 따로 있소. 군자인 유자는 임금에게 충성하고 나라를 사랑하며, 정도를 지키고 사도를 미워하며, 당대에 힘써 은혜를 베풀어 후세에 이름을 남기오. 만약 저들 소인배 유자들이라면 오로지 글귀나 다듬는데 힘을 쏟고 한묵 翰墨(붓과 먹. 문학)만 붙잡고 청춘에는 시부 詩賦나 짓고 호수 皓首 (흰머리)가 돼서는 경전이나 파고 앉아 있소. 붓으로 천마디 말을 써갈긴들 흉중(가슴속) 에는 참으로 아무런 계책이 없는 것이오. 게다가 양웅 揚雄이 문장으로 세상에 이름을 날리고 몸을 굽혀 유분 劉棻을 섬겼으나 누각에서 떨어져 죽는 것을 면하지 못했으니 이른바 소인의 유자요. 비록 하루에 시부를 지어 만 마디를 써 적은들 무슨 취할 것이 있으리오!"
程德樞不能對。眾人見孔明對答如流,盡皆失色。時座上張溫、駱統二人,又欲問難。忽一人自外而入,厲聲言曰:「孔明乃當世奇才, 君等以脣舌相難,非敬客之禮也。曹操大軍臨境,不思退敵之策,乃徒鬥口耶!」
정덕구가 대답하지 못한다. 사람들은 공명이 흐르는 물처럼 대답하는 것을 보고 모두 실색(놀라서 얼굴빛이 달라짐)한다. 그때 자리에 장온과 낙통, 두 사람이 있어 다시 어려운 질문을 해보려 하는데 누군가 밖에서 들어와 성난 목소리로 말한다.
"공며은 당세의 기재이거늘 여러분이 입술과 혀로써 난처하게 하다니 손님을 공경하는 예의가 아니오. 조조의 대군이 국경에 임박했는데 적군을 물리칠 계책은 생각하지 못할망정 헛되이 말다툼이라뇨!"
眾視其人,乃零陵人,姓黃,名蓋,字公覆,現為東吳糧官。當時黃蓋謂孔明曰:「愚聞多言獲利,不如默而無言。何不將金石之論為我 主言之,乃與眾人辯論也?」孔明曰:「諸君不知世務,互相問難,不容不答耳。」
사람들이 그를 바라보니 영릉 출신의 황개 '공복'이다. 현재 동오에서 군량을 관리하고 있다. 그 자리에서 황개가 공명에게 말한다.
"제가 듣건대 말을 많이 해서 이익을 얻느니 차라리 입을 다물라 했습니다. 어찌해서 금석 같은 이야기를 저희 주공께 말씀드리지 않으시고 사람들과 입씨름하십니까?"
"여러분이 세상 돌아가는 사정을 모르시고 제게 따져물으니 답하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於是黃蓋與魯肅引孔明入;至中門,正遇諸葛瑾,孔明施禮。瑾曰:「賢弟既到江東,如何不來見我?」孔明曰:「弟既事豫州,理宜先公 後私,公事未畢,不敢及私。望兄見諒。」瑾曰:「賢弟見過吳侯,卻來敘話。」說罷自去。
이에 황개와 노숙이 공명을 데리고 가는데 중문에 이르러 마침 제갈근과 마주치니 공명이 인사를 올린다. 제갈근이 말한다.
"동생이 강동에 도착하고도 어찌 나를 찾지 않았는가?"
"아우가 예주를 모시는지라 마땅히 선공후사를 따르는 게 도리입니다. 공사가 아직 끝나지 않아서 감히 사사로운 일까지 볼 수가 없었습니다. 형님께서 헤아려 주시기를 바랍니다."
"오후(손권)를 만나 보고 난 뒤에 이야기를 나누세."
제갈근이 말을 마치고 떠난다.
魯肅曰:「適間所囑,不可有誤。」孔明點頭應諾。引至堂上,孫權降階而迎,優禮相待。施禮畢,賜孔明坐。眾文武分兩行而立。魯肅立 於孔明之側, 只看他講話。孔明致玄德之意畢,偷眼看孫權:碧眼紫鬚,堂堂儀表。孔明暗思:「此人相貌非常,只可激,不可說。等他 問時,用言激之便了。」
*適間 /적간/ 방금.
노숙이 말한다.
"얼마전 부탁 드린 것은 절대 실수가 없어야 합니다."
공명이 고개를 끄덕여 응낙한다. 당상으로 데리고 가자 손권이 계단을 내려와 맞이하니 예우가 두텁다. 인사를 마치고 공명을 자리에 앉 도록 한다. 문무 관리들이 두줄로 늘어선다. 노숙이 공명 곁에 서서 그가 이야기하는 것을 지켜본다. 공명이 현덕의 뜻을 전해주고서 슬그머니 손권을 살핀다. 푸른 눈에 자줏빛 수염으로 의표 儀表(용모와 행동거지)가 당당하다. 공명이 속으로 생각한다.
'이 사람은 생김새가 남다르니 격동시켜야지 설득해서는 안 되겠구나. 그가 물어오기를 기다려 말로써 격동시키면 되리라.'
獻茶已畢,孫權曰:「多聞魯子敬談足下之才,今幸得相見,敢求教益。」孔明曰:「不才無學,有辱明問。」權曰:「足下近在新野,佐 劉豫州與曹操 決戰,必深知彼軍虛實。」孔明曰:「劉豫州兵微將寡,更兼新野城小無糧,安能與曹操相持?」權曰:「曹兵共有多少? 」孔明曰:「馬步水軍,約有一百餘 萬。」權曰:「莫非詐乎?」孔明曰:「非詐也。曹操就兗州已有青州軍二十萬;平了袁紹,又得五 六十萬;中原新招之兵三四十萬;今又得荊州之軍二三十萬:以 此計之,不下一百五十萬。亮以百萬言之,恐驚江東之士也。」
차를 대접하고 손권이 말한다.
"노자경(노숙)으로부터 족하(상대를 높여 부르는 말)의 재주를 많이 들었는데 이제 다행히 만나게 됐습니다. 감히 요청하건대 이로운 것을 가르쳐주시기 바랍니다."
"재주 없고 배우지 못해서 명문 明問(상대의 질문을 높여 부르는 말)에 제대로 답하지 못할지 모르겠습니다."
"족하께서 요새 신야에서 유예주를 도와서 조조와 결전하셨다니 필시 그 군대의 허실을 잘 아시겠습니다."
"유예주께서는 병력이 미미하고 장수가 모자른데다 신야성이 작고 식량이 없었는데 어찌 능히 조조에 맞섰겠습니까?"
"조조 병력은 모두 합쳐서 얼마나 됩니까?"
"마보군(기병과 보명)과 수군을 합쳐서 대략 1백만 남짓입니다."
"과장하는 것 아닙니까?"
"과장은 없습니다. 조조는 연주에서 이미 청주군 2십만을 거느렸습니다. 원소를 평정하고 다시 5, 6십만을 얻었습니다. 중원에서 새로 뽑 아모은 병력이 3, 4십만입니다. 이제 다시 형주 군대 2, 3십만을 얻었습니다. 이렇게 계산하면 1백 5십만을 밑돌지 않습니다. 제가 1백만 이라 말씀드렸던 것은 강동 선비들을 놀라게 할까 두려워서였습니다."
魯肅在旁,聞言失色,以目視孔明;孔明只做不見,權曰:「曹操部下戰將,還有多少?」孔明曰:「足智多謀之士,能征慣戰之將,何止 一二千人!」 權曰:「今曹操平了荊楚,復有遠圖乎?」孔明曰:「即今沿江下寨,準備戰船,不欲圖江東,待取何地?」權曰:「若彼有 吞併之意,戰與不戰,請足下為我一 決。」孔明曰:「亮有一言,但恐將軍不肯聽從。」權曰:「願聞高論。」孔明曰:「向者宇內大亂, 故將軍起江東,劉豫州收眾漢南,與曹操並爭天下。今操芟除 大難,略已平矣;近又新破荊州,威震海內;縱有英雄,無用武之地:故豫 州遁逃至此。願將軍量力而處之。若能以吳越之眾,與中國抗衡,不如早與之絕;若其不 能,何不從眾謀士之論,按兵束甲,北面而事之 ?」
노숙이 곁에서 듣더니 실색해서 공명에게 눈짓하는 것을 공명이 못 본 체하는데 손권이 말한다.
"조조 부하 가운데 전장 戰將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수)은 또한 얼마나 되오?"
"족히 지모 있는 선비들과, 능히 원정에 나서 전투를 능숙히 치룰 장수들이 아무래도 1, 2천은 넘지 싶습니다!"
"이제 조조가 형초 荊楚 (초나라가 형주에 위치했기에 형주의 별칭)를 평정했는데 다시 멀리까지 도모하겠습니까?"
"바로 지금 강가를 따라 진지를 세우고 전선을 준비하는데 이것이 강동을 도모하고자 하는 게 아니라면 무엇을 취하는 것이겠습니까?"
"만약 그가 병탄할 마음이 있다면 우리가 싸울지 말지를 청하건대 족하께서 저를 위해 결정해 주십시오."
"제가 드릴 말씀이 있기는 한데 다만 장군께서 기꺼이 따르지 않으실까 두렵습니다."
"바라건대 고론 高論을 듣고 싶습니다."
"예전에 천하가 크게 어지러웠던 까닭에 장군께서 강동에서 일어나고 유예주께서 한남 漢南에서 무리를 모아서 조조와 나란히 천하를 다툴 수 있었습니다. 이제 조조는 큰 어려움을 삼제 芟除 (풀을 깎듯이 베어버림)하고 대부분 평정했습니다. 요새 다시 형주를 깨뜨려 위세가 해내 (천하)를 뒤흔듭니다. 비록 영웅이 있더라도 용무지지 用武之地 (무력을 쓸 수 있는 지방. 재주를 펼칠 터전)이 없게 됐습 니다. 그러므로 예주께서 여기까지 둔도 遁逃 (달아남)하셨습니다. 바라건대 장군께서는 힘을 헤아려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오월 지방 사람들로써 중원과 항형 抗衡 (지지 않고 맞섬)할 수 있다면 어서 조조와 단교하는 것만 못합니다. 만약 그럴 수 없다면 어찌 모사 들이 의논하듯이 병력을 거두고 갑옷을 벗어 북면 (신하로서 임금을 섬기는 것)해서 그를 섬기지 않겠습니까?"
權未及答。孔明又曰:「將軍外託服從之名,內懷疑貳之見,事急而不斷,禍至無日矣。」權曰:「誠如君言,劉豫州何不降操?」孔明曰 :「昔田橫齊之壯士耳,猶守義不辱,況劉豫州王室之冑,英才蓋世,眾士仰慕?事之不濟,此乃天也,又安能屈處人下乎?」
*疑貳 /의이/ 의심해서 다른 마음을 먹는 것.
*田橫 /전횡/ 한신이 제나라를 격파한 후 끝까지 저항하며 한나라 고조에게 항복치 않고 부하들과 함께 자살한 제나라 사람.
손권이 미처 답하지 못하는데 공명이 다시 말한다.
"장군께서 겉으로 그에게 복종한다고 하면서 안으로 머뭇거리며 다른 마음을 먹다가는 사세가 다급해져 재앙이 언제 닥칠지 모릅니다."
"참으로 선생 말씀과 같다면 유예주께서는 어째서 조조에게 항복하지 않으시오?"
"지난날 전횡 田橫은 제나라의 한낱 장사 壯士 일 뿐이었으나 오히려 의를 지켜 욕되지 않았습니다. 하물며 유예주께서는 왕실의 후예로 서 그 영웅스러움이 세상을 뒤덮고 뭇 선비가 우러러 사모하지 않습니까? 일이 성공하지 못하는 것도 하늘의 뜻. 어찌 몸을 굽혀 남의 밑 에 처하겠습니까?"
孫權聽了孔明此言,不覺勃然變色,拂衣而起,退入後堂。眾皆哂笑而散。魯肅責孔明曰:「先生何故出此言?幸是吾主寬洪大度,不即 面責。先生之 言,藐視吾主甚矣。」孔明仰面笑曰:「何如此不能容物耶?我自有破曹之計,彼不問我,我故不言。」肅曰:「果有良策 ,肅當請主公求教。」孔明曰:「吾視曹 操百萬之眾,如群蟻耳!但我一舉手,則皆為虀粉矣!」
*哂笑 /신소/ 비웃다. 조소하다. 낄낄거리며 웃다.
손권이 공명의 말을 듣고 저도 모르게 낯빛이 바뀌어 옷깃을 털며 일어나 후당으로 물러난다. 모두들 비웃으며 해산한다. 노숙이 공명을 책망해 말한다.
"선생은 어쩌자고 그런 말을 하십니까? 다행히 저희 주공께서 관용하고 도량이 넓어 망정이지 그러지 않았으면 그 자리에서 책망했습니 다. 선생 말씀은 저희 주공을 몹시 묘시 藐視 (경시. 무시. 깔봄)하는 것입니다."
공명이 얼굴을 들고 웃으며 말한다.
"어째서 그 말이 용납될 수 없는 것입니까? 내 나름대로 조조를 깨부술 계책이 있는데 제게 묻지 않으시니 말씀드리지 않은 것입니다."
"정말 좋은 계책이 있다면 제가 마땅히 주공께 청해 가르침을 구하라 하겠습니다."
"제가 보기에 조조 백만 무리도 개미떼 같을 뿐입니다! 제가 한번 손을 쓰면 그들 모두 가루가 될 것입니다!"
肅聞言,便入後堂,見孫權。權怒氣未息,顧謂肅曰:「孔明欺吾太甚!」肅曰:「臣亦以此責孔明,孔明反笑主公不能容物,破曹之策, 孔明不肯輕 言。主公何不求之?」權回嗔作喜曰:「原來孔明有良謀,故以言詞激我。我一時淺見,幾誤大事。」便同魯肅重復出堂,再 請孔明敘話。權見孔明,謝曰:「適來 冒瀆清嚴,幸勿見罪。」孔明亦謝曰:「亮言語冒犯,望乞恕罪。」權邀孔明入後堂,置酒相待。
*回嗔作喜 /회진작희/ 성을 내었다가 기분이 돌아옴.
*冒犯 /모범/ 죄를 지음.
노숙이 이 말을 듣고는 후당으로 들어가 손권을 만난다. 손권은 노기가 가라앉지 않아 노숙을 돌아보며 말한다.
"공명이 나를 이토록 업신여기다니!"
"신 역시 그것으로 공명을 책망했더니 그가 도리어 웃으며 주공께서 능히 용물 容物 (자기의 성질을 참아내며 사물이나 사람을 용납하 는 것)하지 못하시는지라 그가 조조를 쳐부술 계책을 쉽게 말씀드릴 수 없다 했습니다. 주공께서 그것을 물어보지 못할 까닭이 있겠습니 까?"
손권이 기분이 풀어져 말한다.
"원래 공명이 좋은 꾀를 가지고도 일부러 나를 자극하는 말을 했구려. 내가 하마트면 얕은 생각으로 대사를 그르칠 뻔했소."
노숙과 함께 다시 당상으로 나가 공명에게 이야기를 청한다. 손권이 공명을 보고 사과한다.
"방금전 선생의 청엄 清嚴 (청정하고 엄숙함)을 모독한 것을 아무쪼록 용서해 주십시오."
공명도 역시 사과한다.
"제 언사가 지나쳤습니다. 바라건대 죄를 용서해 주십시오."
손권이 공명을 후당으로 데려가 술을 내어 대접한다.
數巡之後,權曰:「曹操平生所惡者,呂布、劉表、袁紹、袁術、豫州與孤耳。今數雄已滅,獨豫州與孤尚存。孤不能以全吳之地,受制於 人。吾計決 矣。非劉豫州莫與當曹操者。然豫州新敗之後,安能抗此難乎?」孔明曰:「豫州雖新敗,然關雲長猶率精兵萬人;劉琦領江 夏戰士,亦不下萬人。曹操之眾,遠來 疲憊;近追豫州,輕騎一日夜行三百里。此所謂「強弩之末,勢不能穿魯縞」者也。且北方之人, 不習水戰。荊州士民附操者,迫於勢耳,非本心也。今將軍誠能與 豫州協力同心,破曹軍必矣。操軍破必北還,則荊吳之勢強,而鼎足之 形成矣。成敗之機,在於今日。惟將軍裁之。」
*強弩之末,勢不能穿魯縞 /강노지말, 세불능천노호/ 노호는 노나라에서 나던 얇은 비단. 강력한 쇠노로 쏘더라도 그 화살이 날아가다 결국에는 힘이 떨어져 얇은 비단조차 뚫지 못하게 된다는 말.
몇차례 술잔이 돌아가 손권이 말한다.
"조조가 평소 미워하던 자들은 여포, 유표, 원소, 원술, 예주(유비) 그리고 저뿐입니다. 이제 영웅들이 멸망하고 예주와 제가 아직 남아 있습니다. 저는 동오를 모조리 남에게 바칠 수는 없습니다. 유예주가 아니라면 함께 힘을 합쳐 조조와 싸울 사람이 없습니다. 그러나 유예주가 이제 패했으니 어찌 이 난적에게 대항하겠습니까?"
"예주께서 비록 얼마전에 패하셨다 하나 관운장이 아직도 정병 1만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유기도 강하에서 전사들을 거느리고 있는데 역 시 1만을 밑돌지 않습니다. 조조 무리는 멀리서 오느라 몹시 피로합니다. 요새 예주를 추격하느라 저들이 경기(경기병)를 동원해 하루 밤낮에 3백 리를 내달렸습니다. 이것이 이른바, 아무리 센 화살이라도 그 끝에 가서는 얇은 비단조차 뚫지 못하게 되는 상황입니다. 게다 가 북쪽 사람들은 수전 水戰에 서툽니다. 형주의 사민들이 조조에게 붙은 것도 형세가 급박해서일 뿐이지 본심은 아닙니다. 이제 장군께 서 진실로 유예주와 협력동심 協力同心하시면 조조 군대를 반드시 격파하십니다. 조조 군대가 격파되면 반드시 북쪽으로 돌아갈테고 형주와 동오의 세력은 강해져 결국 정족지형 鼎足之形 (서로 팽팽한 형세)이 이뤄지게 됩니다. 성패의 기회는 오늘에 달렸습니다. 장군 께서 잘 헤아려 주십시오."
權大悅曰:「先生之言,頓開茅塞。吾意已決,更無他疑。即日商議起兵,共滅曹操。」遂令魯肅將此意傳諭文武官員,就送孔明於館驛 安歇。
*傳諭 /전유/ 윗사람의 지시를 전달함.
손권이 크게 기뻐해 말한다.
"선생의 말씀을 들으니 돈개모색 頓開茅塞 (띠풀이 가로막은 산길이 갑자기 뚫림)입니다. 제 뜻은 결정됐으니 이제 다른 망서림은 없 습니다. 날을 잡아 병력을 일으켜 조조를 함께 멸합시다."
마침내 노숙에게 명해서 이 뜻을 문무 관원들에게 전하게 하고, 공명을 관역으로 보내 쉬게 한다.
張昭知孫權欲興兵,遂與眾議曰:「中了孔明之計也!」急入見權曰:「昭等聞主公將興兵與曹操爭鋒。主公自思比袁紹若何?曹操向日 兵微將寡,尚能 一鼓克袁紹,何況今日擁百萬之眾南征,豈可輕敵?若聽諸葛亮之言,妄動甲兵,此所謂負薪救火也。」孫權只低頭不語 。顧雍曰:「劉備因為曹操所敗,故欲借我 江東之兵以拒之,主公奈何為其所用乎?願聽子布之言。」
손권이 병력을 일으키고자 하는 것을 알아챈 장소가 사람들과 의논해 말한다.
"공명의 계략에 빠지고 말았구려!"
서둘러 손권을 만나 말한다.
"저희가 듣자니 주공께서 병력을 일으켜 조조와 창칼을 부딪힐 것이라 합니다. 주공께서 스스로 생각하시기에 원소와 비교해 어떻습니 까? 조조는 지난날 병력은 미미하고 장수는 적었지만 북소리 한번 울려 원소를 이겼습니다. 하물며 오늘날 그가 백만 대군을 거느려 남 쪽을 정벌하는데 어찌 함부로 대적하시겠습니까? 만약 공명의 말을 듣고 망녕되게 갑병 (무장병력)을 움직이신다면 이것이 이른 바 장 작을 짊어지고 불 속으로 뛰어드는 것입니다."
손권이 고개를 수그릴 뿐 아무 말이 없다. 고옹이 말한다.
"유비가 조조에게 패전한지라 우리 강동의 병력을 빌려 그에게 맞서려는 것인데 주공께서 어찌해서 이용 당하려 하십니까? 바라건대 자 포(장소)의 말을 들어주소서."
孫權沈吟未決。張昭等出,魯肅入見曰:「適張子布等,又勸主公休動兵,力主降議,此皆全軀保妻子之臣,為自謀之計耳。願主公勿聽 也。」孫權尚在 沈吟。肅曰:「主公若遲疑,必為眾人誤矣。」權曰:「卿且暫退,容我三思。」肅乃退出。時武將或有要戰的,文官都 是要降的,議論紛紛不一。
손권이 낮게 신음하며 매듭짓지 못한다. 장소 등이 나가자 노숙이 들어와 말한다.
"장자포 등이 또다시 주공께 병력 출동을 관두도록 권하며 항복하자고만 조르니 이 모두가 제 몸과 처자식이나 보전하려는 신하들이 스 스로를 위해 세운 계책일 뿐입니다."
손권은 아직 깊은 생각에 빠져 있는데 노숙이 말한다.
"주공께서 머뭇거리시다가는 마침내 사람들이 주공을 그르치고 맙니다."
"경은 잠시 물러가시오. 내 거듭 생각해 보리다."
이에 노숙이 물러난다. 당시에 무장들 가운데 일부는 싸워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문관들은 모두 항복해야 한다고 해서, 의논이 분분 해 일치되지 못한다.
且說孫權退入內宅,寢食不安,猶豫不決。吳國太見權如此,問曰:「何事在心,寢食俱廢?」權曰:「今曹操屯兵於江漢,有下江南之意 。問諸文武, 或欲降者,或欲戰者。欲待戰來,恐寡不敵眾;欲待降來,又恐曹操不容:因此猶豫不決。」吳國太曰:「汝何不記吾姐臨 終之語乎?」孫權如醉方醒,似夢初覺, 想出這句話來。正是: 追思國母臨終語,引得周郎立戰功。
한편, 손권은 안으로 물러가 침식 寢食을 제대로 못하며 머뭇거리며 매듭짓지 못한다. 오 국태 國太 (임금의 어머니)가 그 모습을 보고 묻는다.
"무슨 일이 마음에 걸려 침식을 모두 폐하느냐?"
"이제 조조가 강한에 둔병해 강남을 함락할 뜻을 가졌습니다. 문무 관리들에게 물으니 어떤 이는 항복하자 하고, 어떤 이는 싸우자 합니 다. 싸우자니 중과부적일까 걱정이고 항복하자니 조조가 어찌 나올까 걱정입니다. 이래서 머뭇거리며 매듭짓지 못하고 있습니다."
"너는 어찌 내 언니가 임종하며 남긴 말씀을 기억치 못하느냐?"
손권이 술 취했다가 방금 깨어난 듯하고 꿈에서 막 벗어난 듯이 그 말이 와 닿는다.
국모가 임종하며 남긴 말을 떠올려, 주랑 周郎더러 전공을 세우게 하겠구나.
畢竟說著甚的,且看下文分解。
*甚的 /심적/ 여기는 '무엇'의 의미 (什么)
과연 이야기는 어떻게 될까? 다음 회에 풀리리다.
다음 회
"무릇 천리마 하루 천리를 가지만 느린 말도 열흘이면 역시 간다 夫驥一日而千里, 駑馬十駕, 則亦及之矣" (순자 荀子)
나관중 羅貫中이 쓰고 모종강 毛宗崗이 개수한 삼국연의 三國演義 원본을 한문-한글 대역 對譯으로 번역해봤습니다.
2009년부터 7년간 번역해 제 블로그에 올린 걸 홈페이지로 만들었습니다.
정만국(daramzui@gmail.com)